메뉴

국민 3명 중 1명 반려식물 키워, 산업 규모 2조 원 추산!

농진청, 반려식물 인구와 산업 규모 전국 단위 조사
응답자 34% 반려식물 기른다고 답해, 젊은 세대 비중 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우리나라 반려식물 인구와 산업 규모를 전국 단위로 조사하고, 결과를 3월 11일 발표했다. 최근 커지는 반려식물 관심과 관련해 관련 정책을 지원하고, 산업 투자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는 지난해 9월 현장 대면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지역별 인구수에 비례해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했다.

 

 농진청은 ▲화분 등에 심겨 실내 공간이나 집 마당에서 관리받는 ‘의존형 반려식물’ ▲정원이나 숲속 등 자연에서 살아가는 ‘독립형 반려식물’로 구분하고, 1개월간 식물과 교감했거나 정기적으로 관리했는지를 항목별로 조사했다.

 

 그 결과, 반려식물을 기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34%로, 약 1,745만 명으로 추산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가 37.2%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도 34.6%로 많았다. 반려식물 기르는 장소로는 실내가 90.2%로 가장 많았다.


 반려식물 구매 비용과 기르는 기간, 식물 관리 비용을 추산한 결과, 반려식물 산업 규모는 총 2조4,215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자체 산업이 1조1,856억 원 ▲화분, 배양토, 영양제 등 관리에 필요한 연관 산업 시장은 1조2,359억 원 규모로 조사됐다. 특히 반려식물 유형(실내, 마당, 정원, 숲)으로 보면 실내식물 연관 산업 규모와 자체 산업 규모가 각각 689억 원(55.7%), 607억 원(51.2%)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농진청은 반려식물 기르기가 국민 생활문화 일부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다. 정서 안정에 주는 기대감이 큰 만큼 반려식물 산업의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김광진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장은 “이번 조사는 반려식물 문화 확산과 산업 확대를 견인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써 의미가 크다.”라며, “앞으로 반려식물 관련 연구를 강화하고, 규제 혁신, 정책 기반 마련 등 정책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