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고추 탄저병 저항성 유도 신호조절 경로, 세계 최초 규명

농진청, 탄저병 저항성 증진 약제 및 저항성 품종 육성 활용 계획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탄저병 저항성 고추 품종(‘캡시쿰 바카툼’)을 이용해 병원균이 침입한 부위뿐만 아니라 감염되지 않은 다른 조직에도 탄저병 저항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살리실산(병 저항성을 갖는 식물호르몬) 기반의 신호조절 경로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고 9월 2일 밝혔다.

  고추 탄저병은 국내외에서 고추 농가에 가장 큰 피해를 줘 연평균 20~30% 수확량 감소로 연간 1,000억 원 이상 손실이 발생한다.

  연구진은 2022년 탄저병 저항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CbAR9을 발굴했고, 이후 CbAR9와 상호 작용하는 단백질 ‘CbSAHH’을 분리해 탄저병 저항성 기능을 검정했다. 그 결과 둘의 상호작용으로 병원균 침입 부위에서 이동성 면역 신호물질(메틸살리실산, MeSA)이 합성돼 다른 부위로 이동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고추 식물체 전체가 저항성을 가지도록 유도해 고추 탄저병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밝혔다.

  농진청은 이번 연구 결과가 메틸살리실산 유사물질 등을 합성해 식물체 내 탄저병 저항성을 증진하는 약제나 신호조절 유전자 정보로 저항성 자원을 정확도 높게 선발할 수 있는 표지를 개발하는 등 저항성 고추 신품종 육성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