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공부문에서 농번기 인력 수요의 약 50% 공급 지원

농식품부, ’2025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 발표
외국인 근로자 역대 최대 규모인 7만9,000명 배정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4월 21일에 ‘2025년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농번기(4~6월, 9~10월) 농업고용인력 수요는 1,450만 명으로 예상되며, 농식품부는 이 중 약 50%인 700만 명을 외국인 계절근로(400만 명)와 내국인 농촌인력중개․일손돕기(300만 명) 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외국인력 공급 확대와 안정적 정착을 지원한다. 정부는 올해 계절근로 도입 시·군(130개 → 134)과 배정 인원(6만1,248명→ 6만8,911)을 확대하고, 농협이 인력을 운영하면서 농가에 일(日) 단위로 인력을 공급해 주는 ‘공공형 계절근로’도 확대(70개소, 25만 명 → 90개소, 30만 명)한다. 외국인근로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농업 근로자 기숙사’ 건립도 지속해 확대(‘27년까지 30개소 추진 중)한다. 외국인근로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계절근로자 전용 ’농작업근로자 안전보험‘(’25.1월 도입, 3월 말 기준 1,227명 가입) 가입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 농업 분야 외국인근로자 기숙사 건립 지원사업 대상: 30개소 >

■ 1차(‘22~’24) : 부여, 청양, 고창, 진안, 담양, 무안, 영암, 해남, 거창, 영양 (10개소)

■ 2차(‘24~’26) : 안성, 당진, 남원, 완주, 고령, 김천, 문경, 봉화, 밀양, 산청 (10개소)

■ 3차(‘25~’27) : 충주, 군산, 고창, 남원, 영주, 영천(2개소), 청도, 밀양, 함양 (10개소)

 

  국내 인력풀 확대 및 숙련도 제고에도 나선다. 고용노동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102개소)를 통해 도시 구직자 구인활동을 강화하고, 시·도 농업고용지원센터(9개소)가 시·군 농촌인력중개센터(180개소)의 인력풀을 통합 운영하여 인력이 부족한 시·군에 다른 곳의 유휴인력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 등을 활용하여 구직자 대상 사전 농작업 교육을 실시하여 내국인 인력에 대한 농가의 만족도를 높이고, ‘도농인력중개플랫폼(농정원)’에는 구직자와 농가 이력을 등록하여 맞춤형으로 일자리를 중개할 계획이다.

  취약농가 인력지원도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사고·질병 발생 농가에 농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영농도우미 지원’을 확대(’24년 70억 원 → ‘25년 76억 원)하고, 지자체 농업기술센터(93개소)에서는 경북, 경남 등 산불피해농가 대상으로 농기계 수리, 농작업 대행을 지원하는 영농지원단을 운영(4.7~)하고 있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농번기 인력 수요가 높은 10개 주요 품목 주산지 등 32개 시·군을 대상으로 농번기(4~6월, 9~10월) 동안 매주 인력 수급 및 인건비 동향을 집중해 확인하고, 인력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지자체, 농협, 법무부 등이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하여 계절근로자 신속 도입, 일손돕기 우선 투입 등을 통해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 농번기 인력 수요 중점관리 대상 시군 >

[경북] 경산·김천·봉화·상주·안동·영양·영주·영천·의성·청송, [전남] 고흥·나주·무안·신안·화순·해남, [경남] 거창·밀양·창녕·함양·합천, [강원] 강원·평창·홍천, [충북] 영동·충주, [충남] 서산·천안, [전북] 고창·장수, [경기] 안성, [제주] 서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