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리 국화 ‘백강’ 지역 맞춤 기술로 보급 늘고, 수출길 활짝!

부산과 공동 추진, 기술 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 성과 가시화
부산 내 재배면적 5.4배 늘어… 지난해 19만 송이 일본 수출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우리나라 대표 국화 품종인 ‘백강’이 지역 맞춤 스마트 재배 기술 적용에 힘입어 내수 시장은 물론 수출도 안정화되고 있다고 3월 13일 밝혔다.


 권재한 청장은 3월 13일 부산에 자리한 ‘백강’ 재배·수출 농가를 방문해 우리 국화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기술 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

 

 ‘백강(2015년 개발)’은 우리나라 최초로 개발한 흰녹병 저항성 국화 품종이다. 흰녹병은 국화 재배 시 잎 앞면에 황색 점무늬가 발생해 상품성이 떨어지는데, 수출 제한 요인이기도 하다. ‘백강’은 꽃 색이 깨끗하고 꽃잎이 잘 빠지지 않으며, 자른 꽃(절화) 수명이 3~4주로 길어 수출용으로 알맞다. 특히 겨울철 재배 온도(18℃)가 기존 품종보다 2℃가량 낮고, 병 방제 비용도 덜 든다.

 

 농진청과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부터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을 통해 ‘백강’의 재배 기술 정립과 수출 시범단지 육성 등 생산 기반 확대에 힘쓰고 있다.

 

 농진청은 부산 시범단지에 적정 빛 가림 시간과 생장조절제 처리, 예비 냉장 등 재배와 수확 후 관리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 최적의 비료와 물을 공급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성 향상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1년 3곳에 불과했던 부산의 ‘백강’ 재배 농가는 현재 15곳, 재배면적은 1.1㏊에서 5.9㏊로 약 5.4배 늘었다. 평년보다 더웠던 지난해 여름에도 부산에서는 ‘백강’ 19만740본(약 1억7,000만 원)을 일본으로 수출해 수출 품종으로써 경쟁력도 입증했다.

 

 ‘백강’의 2024년 연평균 단가는 속(20송이/묶음)당 6,907원으로, 주요 거래 품종인 ‘백선(도입 품종)’(5,521원)보다 높다. 내수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일본 수출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면서 전국 재배면적은 2021년 3㏊에서 2024년 18.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날 현장을 둘러본 권재한 청장은 “농진청은 부산에서의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 시범사업’ 사례를 모델로 삼아 고품질 국화 생산 시스템 보급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안정 판로 확보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