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농촌 택시, 버스 등 농촌형 교통모델 만족도 8.7로 상승!

혜택 마을 9,206개소로 늘고, 이용자도 698만 명으로 증가
보건·의료시설 및 장터, 마트 등 생활편의시설 이동 시 이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농촌 주민의 교통 복지 향상을 위해 실시 중인 ‘농촌형 교통모델 사업’의 2024년 모니터링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5월 1일 발표했다.

 

 ‘농촌형 교통모델 사업’은 대중교통 미운행 지역 등 교통이 취약한 농촌 마을에 소형버스와 택시 등을 활용한 농촌형 교통서비스를 지원한다. 2024년에 81개 군에서 운영되었다. 택시형은 78곳, 버스형은 69곳이었고, 버스형 중 수용 응답형 버스를 운영하는 곳은 12곳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사업의 혜택을 받은 마을 수는 2023년 8,374개소에서 2024년 9,206개소로 9.9% 늘었고, 이용자 수도 같은 기간 678만 명에서 698만 명으로 2.9% 증가했다. 농촌 주민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사업 지원을 요청하는 마을이 많아졌고, 지자체에서도 지원 대상 마을을 적극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에 대한 주민 만족도 역시 작년보다 높아졌다. 종합 만족도는 2023년 8.3점에서 2024년 8.7로 올랐고, 택시 이용자 만족도(8.8점)가 버스 이용자 만족도(8.6점)보다 근소하게 높았다. 여러 조사 항목 중에서는 이용 요금과 차량 청결도 항목의 만족도가 높았다.

 

 농촌형 교통모델 서비스는 보건·의료 시설에 갈 때 가장 많이 이용했다. 전체 조사 참여자 중 택시형은 87.4%, 버스형은 81.3%가 답하였다. 두 번째는 장터, 마트 등 생활 편의시설로 택시형 63.4%, 버스형 65.7%이며, 다음으로 관공서·금융 시설, 농산물 판매, 문화·여가 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사례를 살펴보면, 경남 창녕군은 ‘브라보 창녕읍 순환버스’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을 선도했다. 단방향 순환만 가능했던 기존 노선에 양방향 노선을 추가해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20분가량 단축했다. 운행 마을은 3개소(총 16개소) 늘리고, 군립 수영장, 공설 장례식장 등 다중 이용 시설에 정류장을 추가 설치하여 시설 접근성도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이용자 수도 1만 2,000명에서 1만 3,000명으로 늘어났다.

 

충북 진천군의 ‘행복택시’는 택시형 모델 중 모범 사례로 꼽힌다. 정류장이 700m 이상 떨어져 버스 접근성이 낮은 41개 마을을 대상으로 고령자, 장애인, 임산부, 학생 등 약 2,600명의 주민에게 이동 서비스를 제공했다. 마을에서 읍·면 소재지까지 165대 택시가 연간 4만 3,000회 운행함으로써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지원했다. 행복택시 전용 카드도 발급하여 주민들의 탑승 정보를 정보 시스템으로 처리하고 그 정보를 비용 정산에 활용해 사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