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도네시아, 빠르게 성장 중인 농약 시장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최대의 농업 국가 중 하나로 2024년 기준으로 GDP의 약 13%를 농업이 차지하며, 전체 고용 인구의 약 28%가 농업 부문에 종사한다. 주된 작물로는 쌀, 옥수수, 카사바 등이 대표적인데, 특히 쌀은 주식으로 대부분 자급하고 있다. 팜유, 고무, 코코아, 커피, 코코넛 등이 주력 수출 품목인데, 특히 팜유는 인도네시아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다만 전통적 농법이 여전히 많고, 대부분 농가가 1ha 미만의 소규모 영농이며, 관개 시설 노후화뿐만 아니라 농기계 보급률도 낮다. 기후 조건상 3모작이 가능하지만, 농업용수와 비료 부족으로 2모작도 어려운 경우가 많고, 강수 불균형과 작황 불안정, 수자원 부족도 문제다.

  인도네시아는 농기자재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으로, 특히 비료와 농약 시장은 연평균 4~6% 성장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농약 및 기타 농화학 제품 시장은 2023년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5.4% 증가할 전망이다. 농약 및 농화학 제품시장은 외국기업이 주도하며, 2023년도 기준 전체 시장 규모의 약 53%가 중국 등에서의 수입으로 구성됐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살충제 의존도가 높지만, 부적절한 사용과 제품에 대한 이해 부족이 큰 편이다. 현지 모 대학의 논문에 따르면, 농민의 약 22%만이 농약 제품 라벨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답해 정부는 살충제 의존도를 줄이려 농민들 교육에 나선 상황이다.

  인도네시아는 식량안보 강화와 농지 확대 등을 정책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은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원료 및 관련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를 견인할 전망이다. 특히 장기적으로 유기농업, 바이오 농약 등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인도네시아 재무부, 유로모니터, Modor Intelligence, 인도네시아 할랄보장청(BPJPH),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