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종자원(원장 양주필)은 지난 5년간(’20~’24) 수행한 ‘과수 무병묘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한 번의 진단으로 5종의 복숭아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유특허를 등록했다고 8월 5일 밝혔다.
복숭아나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생육 불량과 기형과 발생으로 과실의 품질이 저하된다. 극복하려면 감염 여부를 신속하게 진단해 건전한 무병묘를 사용해야 한다.
종자원이 개발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기반의 진단 기술은 단 한 번의 검사로 복숭아 주요 병원체 5개(ACLSV 사과황화잎반점바이러스, PaLV 복숭아루테오바이러스, PBNSPaV 자두껍질괴사줄기홈바이러스, HSVd 호프스턴트바이로이드, PLMVd 복숭아잠복모자이크바이로이드)를 동시 진단해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1/5로 줄였다.
본 기술을 활용하면 복숭아 무병묘 생산부터 과수원의 수확 현장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고 제거함으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자원은 특허 기술을 관련기관과 민간에 이전하여 농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적극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