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6년 농업 예산 20조 350억 원 편성

전략작물직불 기존 2,440억에서 4,196억으로 대폭 확대
인구감소 6개 군 선정해 월 15만 원 지역화폐 지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6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6.9%(1조 2,934억 원) 증가한 20조 350억 원 규모로 편성하였다고 9월 2일 밝혔다.

  우선 농가 공익직불 중 ‘선택형 직불’을 기존 3,201억 원에서 5,164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그중 쌀 수급 안정과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을 기존 2,440억 원에서 4,196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특히 논에 다른 작물 재배를 장려하면서 콩 재배가 급증해 비축 규모를 3만 톤에서 6만 톤으로 늘리는 데 3,150억 원을 편성했다.

  농가 소득안전망과 재해에 대해선 국가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수입안정보험 품목을 기존 15개(2,078억 원)에서 20개(2,752억 원)로 늘리고, 농작물재해보험 품목 역시 76개(4,842억 원)에서 78개(5,017억 원)로 늘리며, 재해대책비 역시 1,600억 원에서 2,500억 원으로 확대한다.

  청년농 공공임대용 농지 매입과 선임대·후매도 방식 등의 농지 공급엔 1조 8,077억 원을 투입한다. 농업 분야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합동투자 플랫폼(705억 원)도 조성한다.

  농식품 연구개발(R&D) 예산은 AI 농작업 협업 로봇, AI 기반 작물 생육 진단 등 신기술 개발에 투자하기 위해 2,612억 원으로 15.2% 늘어난다. 별도로 ‘AX-Sprint 300’(국민 생활 속 AI 확산을 목표로 주택, 물류, 제조, 바이오헬스, 농업 등에서 300종 제품을 AI 기반으로 개발·보급하는 계획)의 하나로 AI 기술을 응용한 농산업 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도 신규로 675억 원 지원하여 제2의 ‘불닭볶음면’ 발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농촌 주민의 삶을 보장하기 위해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농어촌 기본소득 사업’ 운영도 시범적으로 1,703억 원을 편성했다. 특히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69개 군 중 6개 군을 공모로 선정해 약 24만 명에게 월 15만 원을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로 지급할 계획이다. 농업인 연금보험료 지원을 위한 기준소득금액도 월에 103만 원에서 106만 원으로 상향한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 대상은 기존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영유아·아동에서 청년까지 확대해 기존 381억 원에서 740억 원으로 편성했다. 산업단지 근로자와 인구감소 지역 중소기업 직장인 5만 4,000명에게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202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최대한 확보·보완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