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은 농업 외부 환경 변화가 빨라지는 상황에서 세계 주요 국가의 농업과 변화, 그 속에서 한국농업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보고서를 해마다 발간하고 있다.
2023년 세계 농림어업 GDP는 4조 3,931억 달러(약 6,094조 원)로 전년보다 0.6% 증가하였으며,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한국은 273억 달러(약 37조 원)로 0.5% 감소하였으며, 전체 국가 중 29위, OECD 회원국 중 23위에 해당했다.
2023년 세계 농촌인구는 34억 1,572만 명으로 전년과 비슷했으며, 인도, 중국,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나이지리아 순으로 많았다. 한국은 967만 명으로 0.6% 증가했다.
2023년 세계 경지면적은 15억 7,160만 ha로 전년과 비슷했고, 인도, 미국, 중국, 러시아 순으로 넓었다. 한국 경지면적은 166만 ha로 전체 국가 중 102위이며, 유기농업 면적은 4만 ha로 76위에 해당했다.
2023년 OECD 회원국 농업총생산 중 농업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9.0%였다. 한국은 7.3%로 전년(6.1%)보다 늘었지만, OECD 회원국 평균보단 작았다.
2023년 세계 농축산물 수입액은 1조 9,060억 달러(약 2,643조 원)로 전년보다 0.8% 줄었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10.7%), 미국(10.6%) 순이었다. 한국은 368억 달러(약 51조 원)로 7.6% 감소하였으며, 전체 국가 중 13위에 해당했다.
2023년 세계 농축산물 수출액은 1조 8,989억 달러(약 2,643조 원)로 전년보다 0.5%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출국은 미국(9.0%), 브라질(7.7%), 네덜란드(6.5%), 독일(5.5%) 순이었다. 한국은 93억 달러(약 12조 원)로 7.8% 증가하였으며, 전체 국가 중 39위였다.
2023년 세계 곡물류 생산량은 31억 3,429만 톤으로 전년보다 2.0% 늘었지만, 한국은 513만 톤으로 1.6% 줄었다. 세계 쌀 생산량은 8억 톤으로 전년보다 1.4% 증가하였으며, 한국은 490만 톤으로 세계 생산량의 0.6%를 차지했다.
2023년 세계 채소류 생산량은 11억 8,668만 톤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하였으며, 한국은 928만 톤으로 0.3% 줄었다. 세계 파 생산량은 507만 톤으로 전년보다 3.6% 증가하였는데, 한국은 44만 톤으로 세계 생산량의 8.7%나 차지하는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2023년 세계 육류 생산량은 3억 7,014만 톤으로 전년보다 1.9% 늘었으며, 한국은 277만 톤으로 0.8% 증가했다.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은 1억 2,467만 톤으로 1.4% 증가하였으며, 한국은 144만 톤으로 세계 생산량의 1.2%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