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양파 시들음병’ 육묘기 방제로 확산 고리 끊으세요!

모종용 흙 파종 전 약제 처리하고, 본밭 만들 때도 등록된 살균제 처리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양파 시들음병이 저장·유통 과정에서 발병해 폐기되는 사례가 늘면서 모종 심는 시기 흙(상토)을 철저히 방제해야 한다고 9월 17일 강조했다.

  양파 시들음병은 모종이 어린(유묘기) 9~10월과 아주심기(정식) 후 재배 과정에서 병원균에 오염된 흙이 양파 뿌리에 감염돼 발생한다. 따라서 파종 전 육묘판에 흙을 담을 때부터 등록 약제를 섞거나 뿌려주는 등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모종을 기를 때 토양 습도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온실 육묘는 육묘판 밑에 화분 받침대를 깔거나, 모종 뿌리가 토양과 접촉하지 않도록 육묘판을 공중에 띄워 기른다. 노지에서 모종을 기를 때는 9~11월 초까지 육묘상 두둑을 20~30㎝ 정도로 높게 조성해 물이 잘 빠지도록 하고 두둑 폭은 120㎝ 이하로 좁게 설정한다.

  아주심기 본밭은 조성 전 토양분석을 실시해 석회를 뿌리는 등 충분히 개량해야 한다. 본밭도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논은 30㎝, 밭은 15~20㎝ 이상으로 두둑을 조성한다.

  양파 생육기에 질소질이 지나치게 많으면 식물체 조직이 연약해져 시들음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토양이 지나치게 습해지지 않도록 물도 세심히 조절해 준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