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일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전날 천쥔지 농업부장(장관)은 전날 입법원(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농업부 통계를 인용해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른 일본에서 대만산 쌀 판매가 6배 급증했다고 밝혔다. 천 부장은 올해 들어 5월까지 일본에 수출한 대만 쌀이 7,759톤으로 작년 동기의 6배로 급증했다면서 지난해 연간 대일본 쌀 수출량(3,890톤)의 약 2배 수준이라고 전했다. 올해는 대일본 쌀 수출량이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1만 톤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천 부장은 일본 내 쌀값 급등 사태가 해소 후 일본 소비자들이 대만 쌀보다 자국 쌀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에 대해 “일본 현지 유통망과 협력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과 일본 내 특정 시장 공략 등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일정 부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 언론은 대만 쌀과 일본 쌀이 찰진 자포니카 품종 계열로 식감이 비슷해 일본에서 소포장 판매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일본 「아사히신문」은 6월 3일 자국 내 쌀값이 천정부지로 뛰어올라 일본의 쌀 수입이 급증해 올해 4월 한 달간 수입 쌀은 6,838톤으로 2024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 연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6월 9일 경남 함양농협에서 국내산 햇양파를 대만으로 수출하는 첫 선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5월 26일에 ‘양파 수급안정을 위한 선제적 수급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후속 조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산 햇양파 수출 촉진을 통해 국내 수급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번 수출은 ‘25년산 국내산 양파의 생산량 증가에 따라 함양군, 농협경제지주 및 함양농협과 협력하여 이뤄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수출량보다 2배 이상 증가(연산 기준)한 100톤을 대만에 수출할 예정이며, 추가 400톤도 협의하고 있다. ’23년부터 국내 양파 수출실적은 연산 기준 약 50톤 수준이다. 올해는 기상 여건 호조 및 병해충 감소 등으로 국내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이 증가(전년비 3.2%↑, 109만톤)될 전망에 따라 원활한 수급 안정을 위해 물량 중 일부를 수출하여 공급 과잉을 해소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수출업체가 우수한 품질의 국내산 햇양파 수출에 차질 없도록 저온저장시설, 저온수송차량 등 선도 유지에 필요한 지원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고 안전성 검사, 해외 판촉 등의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동남아 지역을 대상으로 시에이(CA, Controlled Atmosphere.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해 신선도 장기간 유지) 기술을 적용한 참외 선박 수출을 본격화한다고 5월 21일 밝혔다. 해마다 300톤가량 해외로 나가는 우리나라 참외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홍콩 등 가까운 일부 나라다. 농진청은 참외 30톤을 올해 처음으로 항공편 수출한 베트남 시장에 주목했다. 성주 참외 수출량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월항농협은 지난해 농진청이 완성한 ‘참외 시에이(CA) 수출 모형(모델)’을 적용해 5월 8일, 우리 참외 4톤을 베트남에 처음 수출했다. 이 모형은 참외 수출 공정에 ‘저온 보관’과 ‘예비 냉장’, ‘기능성 포장(MA, Modified Atmosphere) 기술’을 접목했다. 참외 손실률을 비행기와 비슷한 1% 이하로 유지하면서 비용은 40~60%가량 줄였다. 참외를 10~15일까지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본보다 5~7배 더 먼 베트남, 싱가포르 등 장거리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성주 참외는 전체 참외 수출의 13%가량에 CA 기술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K-딸기’의 맛을 북미에 알리기 위한 시식회가 2월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렸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이날 뉴욕 맨해튼의 한국문화원에서 ‘2025 미국 K-딸기 런칭쇼’를 개최했다. 한국산 딸기의 수출통합조직인 케이베리와 공동 개최한 행사는 한국산 프리미엄 딸기의 북미시장 진출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산 신선 딸기는 현재 싱가포르,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시장이 전체 수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행사에는 미국 현지 수입상과 레스토랑, 베이커리 관계자 등 80여 명이 국산 인기 품종인 ‘금실’과 ‘설향’, 신품종인 ‘비타베리’, ‘핑크캔디’ 등 프리미엄 딸기 4종을 소개받고 시식했다. 한국산 딸기는 항공으로 운송돼 현지 수입상이나 온라인 쇼핑몰 등에 우선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가격보다 맛과 품질이 중요한 뉴욕의 프리미엄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