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8월 9~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경제체 모두가 참석하여 농식품 혁신 확산을 통한 식량안보 강화라는 공동 목표 아래 한 걸음 더 나아가기로 뜻을 모았다.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공동 번영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의 혁신 추진’을 주제로, 모든 회원경제체가 합의한 장관선언문을 채택했다. ▲2030 식량안보 로드맵 중간점검 ▲식량안보 정책 실무회의 운영세칙 확정 ▲회원경제체 간 혁신 사례 공유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에 관한 논의를 이끌었다.
이번에 발표한 장관선언문은 7개월 간의 논의를 거쳐 마련된 성과물로, APEC 회원경제체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농식품 시스템 구축을 위한 혁신 확산에 협력한다는 의지를 담았다. 특히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농촌 활성화 ▲청년 농업인 지원 ▲식량 접근성 향상 등의 의제도 강조하며, APEC 차원에서의 포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200명이 넘는 대표단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K-Food⁺를 더욱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회의 기간 ▲스마트팜 ▲스마트 농기계·기술 ▲수출 주력 품목 ▲전통주 ▲K-스트리트푸드를 체험할 수 있는 농업혁신 전시관을 운영했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4위 수출국인 베트남과 면담에선 한국산 닭고기와 과일(키위·온주밀감 등)의 수출 협조를 요청했으며, 말레이시아엔 할랄 인증 한국산 냉장 소고기의 수출 협조를 요청하였다.
이번 식량안보 장관회의는 회원경제체뿐만 아니라 식량안보를 이끌어가는 핵심 주체인 농업계도 함께 참여·소통하는 자리가 되어 그 의미를 더했다. 이승호 한국농축산업협회장, 노만호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장은 대표단에 우리 농업 현장을 농업계가 직접 소개하여 한국 농업의 경쟁력과 잠재력을 체감하도록 했다.
이후 농식품부는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과 함께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를 7년 만에 개최하였다. 3국은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탄소중립형 농업 전환, ▲청년농업인 육성 등 각국의 핵심 정책을 중심으로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하면서 회의를 정례화·제도화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