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온라인 거래 중심의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 발표

▲도매거래 절반은 온라인으로 유도 ▲배추·사과 등 주요 품목 가격 변동성 50% 완화 ▲농산물 유통비용 10% 절감 등 추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9월 15일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목표는 배추·사과 등 핵심 품목의 가격 변동성 50% 완화와 유통비용 10% 절감이며, 이를 위해 4대 전략과 12개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우선 농산물 유통은 온라인 거래 중심으로 기존 4단계에서 1~2단계로 단축하여 개편한다. 현재 전체 농산물 도매시장 거래량의 6%에 불과한 온라인 비중을 2030년까지 5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경매·역경매 방식을 도입해 농업인이 가격 결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산지와 소비지를 연결하는 전문 거래중개인도 육성한다. 또한, 주산지를 중심으로 스마트 산지유통센터(APC)를 확충해 물류 효율도 높인다.

  도매시장 공공성·경쟁성은 강화한다. 성과가 부진한 도매법인은 지정을 취소하고, 신규 법인 공모제를 도입한다. 평가 사각지대이던 중도매인도 2027년부터 성과 평가 제도를 적용한다. 농가 보호 장치로는 ‘출하가격 보전제’가 도입되어 가격 급락 시 운송비와 포장재 비용 등 최소 출하비용을 보전해 농업인의 피해를 완화한다. 2027년부턴 가락시장을 시작으로 주요 품목에 대한 전자송품장 작성도 의무화한다.

  소비자 중심으로 농산물 정보를 제공하고, 대안 유통 경로 확대에도 나선다. 농식품부는 2026년까지 농산물 가격·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을 개발·보급하고, 2028년에는 생산·유통·가격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로컬푸드와 직거래 활성화를 통해 유통단계를 줄여 소비자 체감 가격 안정 효과를 높이며, 2026년부턴 농협이 시범적으로 스마트팜과 연계한 잎채소 직거래 판매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응과 안정적 공급 기반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농식품부는 이상기후에 따른 생산 불안정에 대응해 정부·지자체·농가가 함께 재배면적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신규 재배 적지 확보 및 스마트 생산단지를 2030년까지 과수 100개소, 시설채소 20개소 조성한다. 병해충·이상기후 대응도 민·관 협업 체계로 전환되며, 냉해·폭염·태풍 등에 대비한 농가 단위 재해 예방시설도 확충된다. 산지유통센터(APC)의 기능은 수확 대행까지 확장해 인력 부족 문제에도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농협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전속 출하 조직 3,000개소를 육성해 산지 경쟁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농산물 유통을 온라인 중심의 직거래 체계로 전환하고,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 만족할 가격 안정과 효율적 유통구조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