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를 만족시킬 대추형 방울토마토 신품종을 개발했다고 9월 15일 밝혔다. 신품종은 평균 과중 28.5g의 적색 대추형 방울토마토로, 당도는 9.2브릭스에 맛이 뛰어나다. 과육은 단단해 열과와 꼭지 빠짐 현상이 적다. 10a당 약 3.4톤의 생산이 가능해 일반 품종에 비해 많은 수확량이 기대된다. 토마토 재배 시 문제가 되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시들음병, 역병 등 병해에 대한 복합 내병성도 갖췄다. 지난 7월 48명의 소비자 패널을 대상으로 한 기호도 평가에서 당도, 과즙, 식감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외관 선호도 역시 시중 유통 품종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신품종은 2026년부터 전남 주요 토마토 재배 농가에 신속하게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양파 시들음병이 저장·유통 과정에서 발병해 폐기되는 사례가 늘면서 모종 심는 시기 흙(상토)을 철저히 방제해야 한다고 9월 17일 강조했다. 양파 시들음병은 모종이 어린(유묘기) 9~10월과 아주심기(정식) 후 재배 과정에서 병원균에 오염된 흙이 양파 뿌리에 감염돼 발생한다. 따라서 파종 전 육묘판에 흙을 담을 때부터 등록 약제를 섞거나 뿌려주는 등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모종을 기를 때 토양 습도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온실 육묘는 육묘판 밑에 화분 받침대를 깔거나, 모종 뿌리가 토양과 접촉하지 않도록 육묘판을 공중에 띄워 기른다. 노지에서 모종을 기를 때는 9~11월 초까지 육묘상 두둑을 20~30㎝ 정도로 높게 조성해 물이 잘 빠지도록 하고 두둑 폭은 120㎝ 이하로 좁게 설정한다. 아주심기 본밭은 조성 전 토양분석을 실시해 석회를 뿌리는 등 충분히 개량해야 한다. 본밭도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논은 30㎝, 밭은 15~20㎝ 이상으로 두둑을 조성한다. 양파 생육기에 질소질이 지나치게 많으면 식물체 조직이 연약해져 시들음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토양이 지나치게 습해지지 않도록 물도 세심히 조